UI UX 엔지니어링/UI UX 환경분석
트렌드 분석하기
drexqqa
2018. 12. 11. 15:22
트렌드 분석하기
1. UX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다.
2. 분석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하여 시장의 사용자 니즈(needs)를 분석할 수 있다.
3. UI/UX 환경분석을 위하여 PC,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의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 하는 UI/UX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4. UX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트렌드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2. 분석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하여 시장의 사용자 니즈(needs)를 분석할 수 있다.
3. UI/UX 환경분석을 위하여 PC,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의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 하는 UI/UX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4. UX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트렌드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UI/UX 개념 이해
- UI(User Interface) -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무엇을 하면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있게 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 UX(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혹은 서비스를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
UX 영역이 모호한 이유
- UX의 대상이 사용자의 만족이나 감정 등의 시멘틱(semantic)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한다.
아래의 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분야를 포괄하나 확실히 설정되는 명확한 분야가 없어 영역이 모호함-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 사용성(Usability)
-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
- 인간공학(Human Factors Engineering)
- 인간의 경험을 갖는 특성에 의해 사용자 경험이란 특정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개념이 아닌 사용자에 귀속된 경험이기 떄문에 명확한 분야를 구분하는 것이 모호하다.
- 주관성(subjectivity) : 인간의 경험은 개인의 성격적, 인지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 맥락성(contextuality) : 경험이 일어나는 상황적 외적 환경에 영향을 받음
- 총체성(holistic) : 경험 시점에 개인이 느끼는 총체적인 심리적 효과
더블다이아몬드 모델
탐색-정의-개발-산출의 4단계를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하여 발산과 수렴을 시각화한 모델임
- UX와 관련된 사고, 활동, 대상 등의 폭을 넓혀 가는 탐색,개발의 발산 단계
- 선행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이의 폭을 좁혀 가는 정의산출의 수렴 단계
AIO 분석(라이프스타일 분석 : Lifestyle Analysis)
나이나 성별, 소득, 직업 등 동일한 인구통계적 집단 내 속한 사람들도 서로 상이한 정신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정신심리적 특성을 기초로 시장을 나누는 것.
사용자 니즈(needs)
사용자 니즈는 시스템으로부터 특정한 만족감을 얻으려는 사용자들의 기대를 의미한다.
사용자 니즈 분석 기법
사용자의 니즈는 앞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의 확산 단계에 해당하는 탐색(Discover) 단계에서 아래와 같은 기법들을 적용하여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된다. 조사의 결과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언급하는 경우도 있으나 숨겨진 니즈 등을 식별/도출하기 위한 결과 분석을 수반한다.
- 1. 설문조사(Questionnaire)
- 2.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 3.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 4. AIO 분석(라이프스타일 분석 : Lifestyle Analysis)
- 5. 시나리오 분석(Scenario Analysis)
- 6. 관찰법
- 7. 과업 분석(task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