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UX 엔지니어링/UI UX 계획수립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drexqqa 2018. 12. 18. 15:45


UI/UX 계획수립

1.1 환경 분석 결과를 토대로 UI/UX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 및 목표를 정의하고 목표에 따라서 수행하고자 하는 범위를 수립할 수 있다. 1.2 수행 작업 및 작업 산출물의 속성을 근거로 소요 공수(MM, Man Month), 비용을 산정 할수있다. 1.3 UI/UX 개발에 필요한 작업, 작업 산출물에 따라서 해당 작업의 소요 기간을 바탕으로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1.4 프로젝트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접근 프로세스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을 위한 Work Process 방법론 중 하나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5일이라는 짧은 시간안에 문제발견, 아이디어, 검증까지 마치는 과정이다.


준비

  • 과제
    • 팀이 마주친 가장 큰 문제에 초점을 둔다.
    • 단기간에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드림팀을 구성한다. (4~8명)
  • 시간
    • 문제 해결에만 집중할 수 있는 연속된 Full Time 5 Days를 확보한다.
  • 장소
    • 대형 이동식 화이트보드 2개가 구비된 회의실(아이디어페인트, 종이 대체 가능)

과정

  • Day 1
    • Understand(이해하기)
    • 체계적인 논의를 통해 방향을 잡는다.
    • 지도를 그리고, 전문가들에게 질문을 던져 그들이 알고 있는 내용을 공유한다.
    • 타깃을 선택한다.(일주일 안에 해결할 수 있고 야심차지만 관리 가능한 문제로)
  • Day 2
    • Diverge(다양하게 만들어라)
    • 솔루션을 생각한다.
    • 기존 아이디어들을 검토하고 조합, 발전시킨다.
    • 각자 4단계에 다라 스케치를 하고 예술성보다는 비판성에 포커스를 둔다.
  • Day 3
    • Decide(결정하라)
    • 여러가지 솔루션중에 가장 튼튼한 솔루션을 정하고 스토리보드를 만든다.
  • Day 4
    • Prototype(프로토타입)
    • 실제로 내놔도 무방할 정도의 퀄리티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 Day 5
    • Validate(증명하라)
    • 잠재 고객들에게 인터뷰를 하고 그들의 반응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