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설계하기 결정된 콘텐츠와 기능에 따라서 정보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정보구조 설계에서의 모호성 분류 시스템은 언어 기반 위에서 성립되는 것이며, 언어는 하나의 단어로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배’라는 단어도 먹는 배와 타는 배 그리고 사람의 배와 같이 다양한 뜻이 있다. 이와 같이 단어의 모호함은 정보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한다. 홈페이지에서 우리는 정보의 그룹을 설명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단어를 사용해서 표현을 하는데, 이런 언어의 모호함으로 이용자에게 혼돈을 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들이 홈페이지 전체에서 일어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정보를 분류할 때는 이런 모호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되도록이면 이용자들이 한번에 인식을 할 수 있는 직관..
UI/UX 콘셉트 도출하기 도출된 아이디에이션(Ideation)의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UI/UX 콘셉 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출된 UI/UX 콘셉트를 반영하여 목표 고객인 페르소나(persona)를 추출할 수 있다. UI 설계를 위해서 UI/UX 콘셉트에 적합한 시나리오(scenario)를 작성할 수 있다. User Story 디자인을 개발할 특징 및 테스크를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의 특징을 사용하는 주체, 기능, 목적을 정의합니다. 프로젝트에 연관된 실무자들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역할을 합니다. 에자일 방법론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User Story는 사용자 목표를 기준으로 작업합니다. User Story Method As (사용자) I want you (기능) In or..
UI/UX 콘셉트 아이디어 도출하기 UI/UX 개발 과제의 목표 충조을 위하여 사용자 리서치 결과를 토대로 UI/UX 콘셉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하여 도출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UI/UX 개발(제품)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선별할 수 있다. 패스트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하여 선별된 아이디어를 문서화할 수 있다. 요구사항분석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조건이나 능력. 계약, 표준, 명세 또는 다른 형식으로 제시된 문서에 맞추어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나 능력 요구사항의 도출 :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고객 및 사용자 등 이해관계자와 인터뷰 등을 수행하는 작업. 요구사항의 분석 : 도출된 요구사항이 명확한지를..
5Whys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핵심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고드는 것이 5Why기법입니다. 5번의 Why를 통하여 표면으로 나타나는 이유가 아닌 진정한 원인을 찾아내어 각 관점의 명확한 원인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왜'라는 질문을 통해 좀 더 깊이 파고드는 것이지요. 문제해결을 염두하고 '왜'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Process Domain : 문제, 관심사 또는 이슈를 관찰하라. 그리고 문제 기술서를 작성하라. Session 문제 기술서를 활용해서 '왜'라고 질문하라 그 질문에 대답하고 다시 그 대답에 대한 이유를 질문하라 더 이상 질문이 필요 없을때까지 반복한다 필요에 따라 여러번 잠재적 근본원인을 알기 위해 전체 프로세스를 여러번 반복하라 근본적 원인은 본인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데이터모델링(Data Modeling)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모델로 환원하여 고객의 요구에 따라 특정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후자의 의미로 흔히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으로 불리기도 한다. Process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 진행. 전사적 데이터 모델링, EA 수립시 많이 사용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 대해 Key, 속성, 관계 등을 정확하게 표현, 재사용성이 높음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