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Whys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핵심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고드는 것이 5Why기법입니다. 5번의 Why를 통하여 표면으로 나타나는 이유가 아닌 진정한 원인을 찾아내어 각 관점의 명확한 원인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왜'라는 질문을 통해 좀 더 깊이 파고드는 것이지요. 문제해결을 염두하고 '왜'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Process Domain : 문제, 관심사 또는 이슈를 관찰하라. 그리고 문제 기술서를 작성하라. Session 문제 기술서를 활용해서 '왜'라고 질문하라 그 질문에 대답하고 다시 그 대답에 대한 이유를 질문하라 더 이상 질문이 필요 없을때까지 반복한다 필요에 따라 여러번 잠재적 근본원인을 알기 위해 전체 프로세스를 여러번 반복하라 근본적 원인은 본인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데이터모델링(Data Modeling)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모델로 환원하여 고객의 요구에 따라 특정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후자의 의미로 흔히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으로 불리기도 한다. Process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 진행. 전사적 데이터 모델링, EA 수립시 많이 사용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 대해 Key, 속성, 관계 등을 정확하게 표현, 재사용성이 높음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
위자드 오브 오즈(Wizard of OZ) 참가자들이 실제로 작동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고 있다고 믿도록 설정하고, 실제로는 연구자가 배후에서 시스템 역할을 대신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목적은 사용자가 개발 예정인 제품이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타입 제작에 비용을 투자하기 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제품에 대한 참가자의 개방성과 관심을 측정하고 혁식적인 기술에 대한 경계 조건을 탐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유연하고 반복 적용이 가능하여 탐색적이면서 개념적인 초기 단계에서 디자인을 유도하고 안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디자인 과정 마지막까지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Process 참가자를 프로토 타입 앞에 위치 시키고, ..
포커스 그룹(Focus Groups) 포커스 그룹은 주로 시장 조사를 할 때 이용되며 주의 깊게 모집한 참가자 집단을 통해 제품, 서비스, 마케팅 캠페인, 브랜드 등에 대한 의견, 느낌, 태도를 측정하는 정성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적절히 잘 구성된 포커스 그룹의 참가자들은 숙련된 진행자의 지도에 따라 서로를 동등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참가자들이 서로를 동등하다고 생각하게 되면 자신의 경험이나 이야기, 기억, 인식, 원하고 필요한 것, 환상 등에 대해 더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있다. 포커스 그룹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할 때는 참가자가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했던 논리를 재검토하도록 한다. 또한 참가자가 이야기한 내용, 사용한 은유나, 추론, 자신의 경험, 선호, 기억을 설명하는 방식등에 대해 특별히 ..
맥락 인터뷰 에스노그래피 형태의 필드 리서치를 말합니다. 컨텍스트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탄력적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 열린 조사 방법 자칫 잊어버릴 수 있는 특별한 세부사항과 같은 것들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과정 중 흥미가 발생하는 맥락이나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다. 타겟 사용자의 핵심 특성과 이슈를 명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인터뷰 대상자 샘플을 어떻게 선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보통 음성과 사진을 기록하며 영상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특징 1. Context 사용자 조사를 할 때 사용자와 사용자의 환경에 가능한 한 가까이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사용자가 추상적으로 답을 할 경우 구체적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컨텍스트가 살아 있다면 실제의 상황을..
이해관계자 인터뷰 특정서비스와 관련된 직접·간접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지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인터뷰이다. 중요성 분석과 연계하여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도를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각 이슈에 대한 중요성 인식뿐만 아니라 해당 이슈에 대해 단체가 잘 하고 있는지 평가에 대한 질문지도 구성할 수 있다. 단체의 설문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질문을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현재 단체가 진행하는 역할들 중 잘하고 있는 부분, 강화해야 하는 부분, 단체 고유목적에 대한 이해도, 앞으로 단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물어볼 수 있다. 목적에 따라 이해관계자를 구분하여 질문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특징 설문조사로는 확인하지 못했던 보다 구체적인 의견을 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