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맥락 인터뷰

에스노그래피 형태의 필드 리서치를 말합니다. 컨텍스트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탄력적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 열린 조사 방법

  • 자칫 잊어버릴 수 있는 특별한 세부사항과 같은 것들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장점이 있다.
  • 일반적으로 서비스 과정 중 흥미가 발생하는 맥락이나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다.
  • 타겟 사용자의 핵심 특성과 이슈를 명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인터뷰 대상자 샘플을 어떻게 선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 보통 음성과 사진을 기록하며 영상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특징
  • 1. Context
      사용자 조사를 할 때 사용자와 사용자의 환경에 가능한 한 가까이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 사용자가 추상적으로 답을 할 경우 구체적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 컨텍스트가 살아 있다면 실제의 상황을 직접 추적하거나 연관된 주변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상황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 컨텍스트는 요약된 경험이나 추상적인 데이터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재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 2. Partnership
      사용자와 진행자를 협력자의 관계로 만드는 것
    • 인터뷰 진행자가 모든 걸 주도하는 전형적인 인터뷰와는 다릅니다.
    • 장인과 도제의 형태로 관례를 형성하면 파트너십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사용자의 업무에 대해 관심을 표현하고, 적극적인 탐구 자세를 보여준다면 사용자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순 관찰자의 모습 보다는 적극적인 참여자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 3. Interpretation
  • 4. Focus
      포커스는 인터뷰 진행자가 조사를 하는 동안 유지해야 하는 관점을 말합니다.
    • 새로운 카테고리가 발견되었을 경우 진행자는 포커스에 근접한 것인지 아닌지를 구별해내야 합니다.
    • 제한된 시간 내에 의미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필터링이 필요한 것입니다. 확장 가능성은 열어 두되 '더 관련이 있는 것'과 '덜 관련이 있는 것'을 구분해야 합니다.


댓글
© 2018 eh2world